티스토리 뷰
http://wired.jp/2013/08/30/brain-function/
당신은「우뇌인간」인가? 아니면 「좌뇌인간」인가? 이 이미지를 보면 그 답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인간의 뇌는 과연 2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을까?
여러분은 자신이 우뇌인간인가, 좌뇌인간인가 알고 계시는가? 판별테스트를 해본 적이 있는 분이라면 위에 나오는 GIF 이미지를 알고 계실 것이다. 이미지에 나온 댄서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면 번뜩임이나 필링을 중시하는 크리에이티브한 우뇌인간,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인다면 사실이나 질서를 중시하는 이론적인 좌뇌인간이라는 판별시스템이다.......그렇다면 여러분은 과연 어떤 타입이란 결과가 나왔는가?
스피닝 댄서라고 불리는 이 이미지는 실은, 실루엣의 시각적 모호함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착시이미지이며 뇌 타입을 판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있거니와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회전 방향이 항상 다르게 보이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이미지가 언제부터인가 우뇌좌뇌 판별에 사용되게 되었으나 과연 이러한 방법으로 자신의 대략적인 성격이나 “자주 사용하는 뇌”를 파악할 수 있을까?
기존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의 경우 언어처리는 좌뇌, 시각공간의 처리는 우뇌로 측성화(즉, 편반구)에 특화된 연결이 있음이 밝혀졌다. 성별로 본다면 남성은 여성보다도 편반구의 기능적 통합이 약간 많다고 알려졌으며 잘 쓰는 손도 어느 정도 이것과 관련이 있다. 그럼 우뇌, 좌뇌 특유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약간의 차이가 개인의 성격과 “잘 쓰는 뇌”를 결정지을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아이들이라면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결합 패턴이 변화하지 않을까?
이러한 의문을 검증하기 위해서 미국 유타대학의 제프 앤더슨 박사가 나섰다. 이번에 저널지인『PLOS ONE』에 실린 논문에서는 국제신경화상 데이터 공유 이니셔티브(INDI)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MRI)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정된 상태의 뇌의 기능적 결합상태를 7,266개의 관심영역(ROI)으로 나눠 분석한다고 하는 흥미로운 조사가 발표되었다. 앤더슨 연구팀은 7세부터 29세까지의 피험자 1,011명의 안정된 상태의 뇌의 결합상태를 분석했다. 이에 따라 우뇌반구, 좌뇌반구의 특성화를 아이부터 어른까지 철저하게 조사하기로 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연구팀이 얻은 결과는 위에서 나왔던 “뇌타입 판별”에 반하는 것이었다.
「뇌의 기능이 좌우로 구분되어 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언어는 대개 좌뇌에서 처리되고 주의는 우뇌에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뇌의 네트워크 중 한쪽 반구가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앤더슨 박사는 말한다.
7,266개에 달하는 관심영역을 세밀하게 조사한 후에도 개인의 우뇌 또는 좌뇌 네트워크에서 결합양이나 사용량의 편중은 볼 수 없었다고 한다. 또한 판반구의 기능적 결합은 아이보다 어른 쪽이 훨씬 많다는 결과는 나왔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에 반하여 남녀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인간의 성격은 확실히 뇌에서 발생하지만 이것을 우뇌, 좌뇌의 기능과 관련지어 간단하게 판단하기엔 지나치게 복잡하다. 어쩌면 성격이란 뇌의 시그널의 강도나 판반구의 결합상태를 통해 규명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우리는 논리적인 사람이 크리에이티브할 수도 있음을 알고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도 알고 있다. 스피닝 댄서가 어떻게 보이더라도 사람은 좌우에 편중되지 않고 뇌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