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과학

방사능 정화 해바라기

과정 2017. 10. 30. 11:54


'식물로 환경 복원을 한다' 

 

엥? 그거 누가 모르냐?


근데 조금 다른거다


환경 복원인데 일반적으로 아는 광합성으로 CO₂를 사용해서 광합성 산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토양 정화'에 관한거야



phyto.jpg


일단 이게 기본 개념이야


예시를 몇가지 들어줄게


2011년에 후쿠시마가 방사능으로 노짱 따라가버려지...

f895f29b33c6e53ab4a31dfc09b56f01.png


근데 여기서 이런말이 나왔어

해바라기.jpg

근데 왜 해바라기를 심盧? 궁금하다 이기야!!!!

해바라기2.jpg

해바라기는 

칼륨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는데


중금속으로 오렴된 토양에서는 칼륨 대신 다른 금속들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중금속-우라늄, 납 비소를 흡수하고

방사성 동위원소-세슘 - 137 과 스트론튬 - 90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


해바라기의 이 경향성은 체르노빌 원전사고에서 발견되었는데


근처의 호수가에서 자라던 해바라기 근처의 토양에서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낮게 나온거지



도로가에 있는 풀들도 같은 식물이라도 토양에 따라 K Na 흡수율이 변하는 거와 비슷한거 같다


그러면 식물환경복원(Phytoremediation)은 어떤게 있는지 소개해 줄게

phytoremediationf01.JPG

1.추출법-오염토양에서 물질을 흡수 한 후 식물체를 제거

phytoremediation-green-prophet-image-picture-israel-aquatic-natural-environment.jpg

2.필터레이션


3.토양 안정화


4.분해법-분해될 수 있는 물질로 낮추는거


5.휘산법-식물체가 흡수해서 토양 밖으로 날려보내기



fieldguide_tree-525x304.jpg


추출법에 대해 간다히 보여주자면

1_collectasoilsamples1.jpg

1. 오염 토양을 채취

2_sendittoalab.jpg

2. 오염 물질을 분석

4_startplanting.jpg

3.적절한 식물을 식수

6_disposeashazardouswase.jpg

4.식물체 제거

방사성 물질이나 중금속을 흡수한 식물체이기 때문에 이 처리가 중요해


그러면 왜 식물환경복원을 할까?

오염된 토양에서 그냥 그 흙을 버리면 되는거 아니야?


그 이유가 식물 복원법은 비용에서 적게 든다는게 장점이야!

fieldguide_costsa-525x228 (1).jpg


m16.jpg

돈도 적게 들고 딱 좋盧!!

fieldguide_table-525x224.jpg

중금속 별로 그 금속을 잘 흡수하는 식물을 나타낸 표인데 잘 안보이긴하네


우리나라에서는 이 복원법으로 폐광지대의 중금속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있어


주로 포퓰러 나무를 이용하는데


이 포퓰러를 좀 더 중금속 흡수를 잘 하게 육종해서 심는거지


1. 오염지대에 포퓰러를 심어서 정화

포퓰러0.jpg

포퓰러1.png

포퓰러2.jpg


2.폐광지대에서 포플러를 심어서 흡수

중금속 흡수.jpg


그리고 최근 뉴스로흡수를 잘하는 신종 식물을 발견한것도 있더라

신종식물.jpg

이번 연구에 참여한 호주 멜버른대학의 어거스틴 도로닐라 박사는 “이 식물은 환경친화적인 기술 개발에 대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도로닐라 박사의 말로는 이 식물은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는 ​​‘물 정화’(phytoremediation)와 희귀 금속 등을 효율적으로 발굴하는 ‘식물 채광’(phytomining)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이 식물은 금속 함유량이 많은 토양으로 널리 알려진 필리핀 루손 섬 서부에서 발견됐다. 중금속을 축적하는 능력을 지닌 식물은 지구 상에서 불과 0.5~1%이며, 니켈과 아연 등을 축적하는 식물은 겨우 350종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런 고축적 식물은 성숙한 식물 세포 안에 있는 미세 구조물인 ‘액포’ 속에 금속을 축적한다. 액포에는 막이 있으며 이는 인간의 간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즉 금속의 독성으로부터 세포의 나머지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다.

식물분자생리학 전문가인 데이비드 솔트 호주 퍼듀대학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식물과 비슷한 고축적 식물이 가진 ‘금속 저장’ 유전자를 복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산업 오염을 정화하고 작물의 영양가도 향상하는 신종 작물을 낳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이들은 토양의 중금속을 식물로 정화할 수 있는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일게이들아 그냥 


이러지 말고 그냥 읽어주길 바래 ㅋㅋ


요약

1. 식물환경복원-식물 이용해서 토양 또는 물의 중금속, 오염 물질을 제거


2. 체르노빌, 후쿠시마에도 해바라기를 이용하려함

(일본에서는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한 거 같긴해)


3. 우리나라도 포플러 신품종 개발해서 중금속 제거한다.


4. 신품종 나온다. 크.....중금속 싸게싸게 죽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