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외국 드라마나 영화 토렌트로 다운 받아보는 게이들 많을텐데 ㅅㅌㅊ 외국어실력이 있는 일게이가 아니면 자막 없이는 시청이 힘들거다.
보통 자막파일은 SUB, SRT과 SMI 등등이 있지만,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SRT와 SMI을 중점적으로 다뤄볼게. SUB는 주로 dvd에서 사용하는 확장자거든.
자막파일을 보여주기 위해 나름 재밌게봤던 레옹을 다운받아보았다.
srt와 smi 이렇게 2가지 확장자가 있지??
~.SMI
먼저 SMI확장자는 SAMI파일이라고 한다.
하지만 MS는 이런 closed caption의 제약을 뛰어 넘어 PC에서의 영상이나 음악 등 다양한 환경의 멀티미디어 파일에도 실행 가능하면서 편집이 쉬운 자막 형식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그 자막 형식이 SAMI야.
SAMi파일은 메모장으로 열어 볼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제작, 편집이 가능해. 즉, 윈도우가 깔려있는 PC라면 메모장으로 자막의 제작과 편집이 가능할 정도로 간편한 양식의 파일이라고 할 수 있지.
이런 특징들 때문에 SAMI는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형태의 자막이야.
~.SRT
하지만 SRT 자막은 단순한 TEXT로만 구성된 형태의 자막이라 SAMI처럼 HTML 코드를 활용해서 자막의 색을 입히거나 폰트를 바꾸거나 할 수 없는 없어. 게다가 PC 환경에서는 SAMI나 SRT 형식의 구애없이 자막을 감상할 수 있지만 예전 PMP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들 중 대부분이 SRT 자막을 인식 못하기 때문에 다소 불편하기도 해.(요즘은 별 상관없이 다 잘 돌아가는거 같더라)
3줄요약
1.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막파일에는 SRT와 SMI(SAMI)가 있다.
2. SRT보다는 SMI(SAMI)가 호환성도 좋고 편집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도가 높다.
3. 가능하면 자막에 의존하기보다는 외국어 실력을 길러 자막없이 보도록 하자.